오늘은 국내 이동 통신사 3사(SKT, KT, LG U+)의 5G 요금제를 비교해 보려고 한다.
크리스마스, 연말/연시는 국내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기기변경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시즌이다.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도 이 시즌을 맞아 본인의 휴대폰을 바꾸거나 자녀, 부모님의 휴대폰을 5G 기기로 바꿔드리려고 하는데 통신사별로 요금을 알아보시는 분들일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필자가 각 통신사별로 가장 합리적인 요금제를 추천해 드리고, 추가적인 팁도 드리도록 하겠다.
목차(선택 시 해당 내용으로 이동)
가장 궁금해하는 것 - 통신사별로 요금 차이가 많이 날까?
정답부터 말씀드리자면 "아니요"다. 정말 세부적인 서비스 내용이나 속도, 품질 차이는 있지만 데이터 제공량만 놓고 봤을 때 통신사별로 별 차이가 없다. 이유는 간단한데, 정부(정확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등)에서 데이터 용량 구간별로 표준 금액대를 정해놓았다. 그래서 SKT든 KT든 LG U+(유플러스)든 데이터 요금이 0.5KB당 0.275원으로 동일하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말씀드리면 완전 무제한 요금제 같이 이용량과 속도 제한이 없는 무한의 영역에서는 해당 통신사의 모든 고객이 평균적으로 이용하는 데이터 양을 가격으로 환산해 기준을 삼는 데다 부가 혜택이 따라오기 때문에 가격이 차이 나면서 가격도 고가인 것이고, 속도 제한형 - 데이터 제공량이 정해져 있는 요금제들은 같거나 비슷한 용량 구간일 때 요금이 같거나 비슷하다.
가장 활용성이 좋은 요금제는 무엇일까?
자, '가장 활용성이 좋은 요금제'라는 것은 쓰지도 않을 거면서 높은 데이터 요금제를 쓰는 것이 아니라, 평균적으로 많이 쓰고 나한테 딱 맞는 데이터 요금제를 고르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공개하는 자료 중 무선데이터 트래픽 최신 통계를 살펴보면, 2021년 10월 5G 요금제에 가입한 1인당 트래픽(사용량)은 약 27GB이다.
1인당 평균적으로 27GB를 사용한다고 하면 30GB 요금제를 선택하면 되겠.. 지만 아쉽게도 이동 통신사 3사 모두 20GB, 30GB 요금제가 전무하다. 없다는 얘기다.
필자가 추천하는 요금제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정답은 10GB 속도 제한형 요금제를 쓰는 것이다. 그 이유를 설명드리겠다.
요즘은 예전처럼 정해진 데이터 요금을 소진하고 나면 인터넷을 쓸 수 없게 데이터가 차단되거나, 과금이 되는 구조가 아니다. 제공된 데이터를 모두 소진해도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제공하는 대신 속도를 낮추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0GB 요금제를 쓴다고 할 때, 10GB를 소진할 때까지 5G 속도(평균적으로 초당 100MB 정도)로 데이터를 제공하다 10GB를 모두 소진하면 초당 0.13MB 정도 등으로 속도를 낮춰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많이 불편할까?
그럼 5G 속도에서 갑자기 3G 정도의 속도로 낮아지면 사용하는 데에 많이 불편할까? 생각보다 그러지 않을 것이다. 보통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소모해 컨텐츠를 소비하는 것은 출퇴근 시간이 대부분이다. 이를 고려할 때 유튜브 영상은 중간화질에서 평균적으로 초당 0.5MB~1MB를 소모하고, 음악은 초당 약 0.01MB 정도를 소모한다(멜론 AAC 128 기준). 웹 서핑은 두말 할 것 없이 잘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속도가 낮아져도 충분히 사용할 만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집에서는 와이파이를 사용하고, 회사에서는 PC를 이용하거나 역시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등 출퇴근 및 이동시에만 데이터를 소모하는 분들에게 10GB 요금제를 추천한다.
고용량 요금제는 누가 쓸까?
집에 PC 등이 없어 인터넷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나는 스마트폰만 쓴다! 모든 컨텐츠 소비를 오로지 스마트폰만으로 한다! 혹은 캠핑이나 낚시 등을 즐겨 컨텐츠를 하루 종일 소비하는 일이 잦다! 하는 분들은 고용량 요금제를 추천한다.
10GB 요금제를 쓰면 좋은 분들
- 집과 회사에서는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분들
- 스마트폰으로 컨텐츠를 소비하는게 출퇴근 시간이 전부인 분들
고용량 요금제를 쓰면 좋은 분들
- 집에 와이파이가 없어서 오로지 스마트폰 데이터로 컨텐츠를 소비하시는 분들
- 캠핑이나 낚시를 즐겨해 컨텐츠 소비 시간이 긴 경우가 잦은 분들
-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많이 하시는 분들
- 택시/화물 기사님들
- 영상 컨텐츠 소비가 잦은 분들
SKT 5G 추천 요금제
위에서 설명한 필자의 생각을 토대로 이통 3사의 5G 요금제를 추천해 드리도록 하겠다.
먼저 SKT인데, 10GB 요금제인 '5GX 슬림'을 추천한다.
'5GX 슬림' 요금제는 10GB 데이터를 기본 제공하고 이를 모두 소비했을 시 최대 1Mbps(약 0.13MB)의 속도로 데이터가 무제한 제공된다. 기본 제공되는 10GB 내에서 테더링이나 쉐어링을 할 수 있고, 음성통화(집전화, 이동전화) 무제한에 영상통화 300분 제공, 문자는 무제한 제공된다. 한 달 요금은 선택 약정 25% 적용 시 월 41,250원이다.
데이터 소비가 많아 고용량 요금제를 가입하고 싶은 분들은 '5GX 프라임' 요금제를 추천한다.
'5GX 프라임' 요금제는 데이터가 완전 무제한이다. 테더링과 쉐어링은 각각 별도로 30GB의 데이터 용량이 제공된다. 음성통화(집전화, 이동전화) 무제한과 영상통화 300분, 문자 무제한은 동일하다. 한 달 요금은 선택약정 25% 적용 시 월 66,750원이다.
KT 5G 추천 요금제
KT도 10GB 요금제인 '슬림'을 추천한다.
'슬림' 요금제는 10GB 데이터를 기본 제공하고 이를 모두 소비했을 시 최대 1Mbps(약 0.13MB)의 속도로 데이터가 무제한 제공된다. 기본 제공되는 10GB 내에서 테더링이나 쉐어링을 할 수 있는데 데이터가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 테더링/쉐어링 시 최대 200Kbps로 속도가 제어된다. 음성통화(집전화, 이동전화) 무제한에 영상통화 300분 제공, 문자도 무제한 제공된다. 한 달 요금은 선택 약정 25% 적용 시 월 41,250원이다.
KT에서 고용량 요금제를 가입하고 싶은 분들은 '슈퍼플랜(베이직)' 요금제를 추천한다.
'슈퍼플랜(베이직)' 요금제는 데이터가 완전 무제한이다. 로밍도 최대 100Kbps 속도 내에서 무제한 제공되고, 테더링과 쉐어링을 위해 별도로 20GB의 데이터 용량이 제공된다. 음성통화(집전화, 이동전화) 무제한과 영상통화 300분, 문자 무제한은 동일하다. 한 달 요금은 선택 약정 25% 적용 시 월 60,000원이다.
LG U+(유플러스) 5G 추천 요금제
LG U+는 12GB 요금제인 '라이트 +(플러스)'를 추천한다.
'라이트 +(플러스)' 요금제는 12GB 데이터를 기본 제공하고 이를 모두 소비했을 시 최대 1Mbps(약 0.13MB)의 속도로 데이터가 무제한 제공된다. 기본 제공되는 12GB 내에서 테더링이나 쉐어링을 할 수 있다. 음성통화(집전화, 이동전화) 무제한에 영상통화 300분 제공, 문자도 무제한 제공된다. 한 달 요금은 선택 약정 25% 적용 시 월 41,250원이다.
LG U+에서 고용량 요금제를 가입하고 싶은 분들은 '프리미어 에센셜' 요금제를 추천한다.
'프리미어 에센셜' 요금제는 데이터가 완전 무제한이다. 테더링과 쉐어링을 위해 별도로 각각 15GB의 데이터 용량이 제공된다. 음성통화(집전화, 이동전화) 무제한과 영상통화 300분, 문자 무제한은 동일하다. 한 달 요금은 선택약정 25% 적용 시 월 63,750원이다.
가격 비교해보기
자, 10GB 요금제를 비교해보자. 가격은 모두 똑같다. 선택약정 25% 할인을 적용하면 세 통신사 모두 월 41,250원에 5G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중 가장 메리트가 있는 것은 LG U+다. 데이터를 무려 2GB를 더 준다. 100에서 2가 차이 나는 것은 크지 않지만 10에서 2가 차이 나는 것은 엄청난 차이다.
데이터 완전 무제한 요금제는 세 통신사 중 KT가 가장 메리트 있다. 일단 가격이 가장 저렴하고, 심지어 로밍도 무제한이다. 테더링/쉐어링도 20GB면 사실 충분하다.
결론은
- 10GB대 요금제 → LG U+ > KT > SKT
- 완전 무제한 요금제 → KT > LG U+ > SKT
사실 가격보다 더 중요한 게 있는데..
그건 바로 '품질'과 '속도'다.
복잡한 기술적인 얘기지만 무선 데이터 통신은 서비스사의 통신 주파수 대역, 통신 장비의 품질, 중계기의 개수 등이 품질과 속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2021년 8월 31일 과기부가 발표했던 '5G 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중간결과'에 따르면 속도는 SKT > KT > LG U+ 순으로 빨랐다. 커버리지(쉽게 말해 중계기가 많아 5G가 안 끊기는 것)는 LG U+ > KT > SKT 였다.
정리해보면
- SKT는 속도는 빠르지만 5G 이탈이 잦고
- KT는 속도도 무난하고 5G 유지도 무난하며
- LG U+는 속도는 조금 느린 대신 5G 유지가 잘 된다.
그래서 종합적으로 필자는 KT를 추천한다. 5G는 빨라야 하고, 빠르면서도 유지가 잘 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가 꽤나 힘든 모양이다. 그렇다면 그 사이 중간을 잘 유지하는 KT에서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이 경제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빠른 속도를 위해 비싼 돈 주고 5G 요금제를 이용하는데, 5G에서 자주 이탈돼 4G를 쓴다? 그건 돈값을 못하는 것이다. 반대로 이탈은 덜 되지만 속도를 못 챙기는 것 역시 돈값을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돈값을 할 수 있는 KT를 추천한다.
필자도 KT를 사용하고 있다.
마치며..
오늘 글을 통해 필자가 여러분에게 바라는 것은 대리점 가서 한참 동안 이것저것 설명 들으면서 시간 버리시지 말고, 미리 여러분이 이용할 요금제를 딱 골라놓고 가서 속 시원하게 가입하시고, 시간도 아끼시고 스트레스도 받지 마시길 바란다.
글 초반부에도 말씀드렸듯 세 통신사 간 요금 차이? 그렇게 크지 않다. 그러니 필자의 추천을 따른다면 크게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인생개조 라인 > 인생개조 : 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폰(스마트폰) 앱으로 내 신용 정보(신용 점수, 신용 등급) 바로 확인하는 방법 (feat. 카카오톡, 카카오뱅크, PASS) (0) | 2023.01.26 |
---|---|
간편하게 기업 재무정보 확인하는 방법 (0) | 2021.08.11 |
쉽게 돈 벌기 : 임무수행! 리뷰헌트, (1)소개 및 회원 가입하기 (0) | 2020.04.23 |